ABOUT ME

한국과 일본 연예계 정보를 정리해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방송출연 효과로 자기 사업 홍보한다고 욕먹는 백종원의 진실
    연예・스포츠 이슈 2019. 4. 8. 21:24

     

    백종원이 수많은 예능과 방송에 출연 하면서 그의 사업을 홍보하고 많은 돈을 벌고 있다는 소문과 얘기는 한번쯤은 들어 봤을거에요. 백종원이 출연한 방송들은 시청률과 화제성을 몰고 다니기에 더 그런 소문이 나는 것 같아요. 

     

    지금까지 백종원이 출연한 방송들 이름만 봐도 다들 잘아는 방송이 많을거에요. 

     

    백종원이 출연한 방송 대표작

    2014년 tvN Olive 한식대첩 

    2015년~2017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2015년~2016년 tvN 집밥 백선생

    2015년~2017년 SBS 백종원의 3대천왕 

    2018년~2019년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 

     

    이렇듯 요리컨텐츠를 주제로한 방송의 붐을 일으킨 선구자이자, 요리연구가와 요식 체인기업 대표이사로서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백종원의 활약은 현재 진행 중이에요. 

     

     

    특히 요즘 골목식당에서 활약은 많은 자영업자와 자영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교훈과 도움을 줌으로써 귀감을 받고 있어요.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방송 출연을 많이하게 되면 백종원이 운영하는 체인점들은 관리가 잘 되는건지? 신경이나 쓸 수 있는건지 등 궁금증이 생기죠. 

     

    또한 방송에 많이 노출되면서 백종원이 운영하고 있는 요식 체인점들도 방송효과를 보는게 아닌지 생각하는 분들도 많죠. 그렇다면 과연 백종원이 방송 출연을 많이 함으로써 그의 사업이 큰 이득을 보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죠.

     

    ※방송효과 제대로 본 백종원 사업?

     

     

    시청자들은 백종원이 경영하는 요식 체인점들이 방송효과를 통해 큰 이득을 보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러나 백종원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업체 "더본코리아"의 2018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1%나 감소했어요. 가장 영업이익이 높았던 2016년에 비교하면 무려 영업이익이 50%가까이 감소했어요. 

     

    그렇다면 매출액은 늘었을까요? 매출액 역시 변동없이 1700억원대에 머물고 있다고 하네요. 

     

     

    ※방송이 바뻐서 자기 사업 신경 못쓰는 백종원?

     

    골목식당에 해결자로 출연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게에 문제점을 파악해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솔루션을 아낌없이 제공하는 백종원. 바쁜 방송 일정과 백종원도 피해갈 수 없는 경기 침체로 인해 영업이익이 급감하고  있는 것 일까?

     

    그런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겠지만 그 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하네요.

     

     

    ※프랜차이즈 규제 

     

    작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프랜차이즈 규제정책"이 백종원의 사업을 주춤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요. "프랜차이즈 규제정책"이 시행된 이유는 모두가 잘 아는 것 처럼 갑질의 일상화가 된 프랜차이즈 사업을 손보고 "을"의 피해를 줄이겠다는 목적하에 정부가 물류에 치우친 수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필수물품 공개"와 프랜차이즈 본사에 가맹금 조정을 요청할 수 있는 "가맹사업법"등 여러 규제가 시행되었어요.

     

    이로인해 2018년 한 해 동안 프랜차이즈 등록이 취소된 브랜드는 무려 1.037개로 2016년 같은 기간보다 21.3%로 늘어 났다고 해요. 백종원이 운영하는 "더본코리아"뿐만이 아니라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이 위축 된 것으로 예상되요. 

     

     

    앞으로 프랜차이즈 업계에 대한 정부의 단속과 규제 정책이 더욱 강화 될 전망이다 보니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 1위를 달리고 있는 백종원의 "더본코리아"가 그 자리를 계속 유지 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어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