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은행 DLS 대참사, 피해자 속출정치・경제・사회 2019. 8. 18. 12:13
<요약>
1. 김 씨는 지난 5월 아내의 퇴직금 등 노후자금 4억 7천만 원을 영국 금리 파생상품에 투자.
2. 은행의 부지점장은 안전한 상품을 원하는 김 씨의 투자성향을 알고 있었음.
3. 부지점장은 실제로 손실이 날 가능성은 없다고 함.
4. 2주 만에 2천만 원 손해가 나자 김 씨는 그냥 팔아달라고 했는데, 은행은 김 씨에게 걱정하지 말고 편하게 있으라고 함.
5. 3달 만에 -40% 찍음.언론에서는 우리 은행이 판매한 DLS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도하고 있어요.
"당초 손실 가능성이 낮다며 '중위험, 중수익'을 원하는 은행 고객들에게 팔렸던 파생결합증권(DLS), 파생결합 펀드(DLF)가 투자자 원금 대부분을 날릴 수 있는 '초고위험' 상품이 됐다"라고 보도하고 있어요. 즉, 시한폭탄이 된 거죠.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은 이렇게 만들어진 DLS와 DLF를 가져다가 1조 원 가까이 팔았어요.
이에 피해를 본 사람들은 소송 준비를 하고 있어요.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을 상대로 투자자들을 대리해 집단소송을 준비 중인 법무법인 한누리는 "독일, 영국 등 해외 금리의 하락세가 뚜렷한 상황에도 상품 판매를 판매회사나 자산운용회사가 강행했다"며 불완전판매 소지가 매우 크다고 주장했어요.
수익구조의 문제점도 지적했어요. 한누리는 "DLS, DLF 상품은 금리가 아무리 상승해도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수익이 3~5%에 불과하지만,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투자원금 100%에 가까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수익과 손실 간의 불균형이 대단히 극심한 상품"이라고 지적했어요.결국 은행 측에서 피해자들에게 중위험・중수익임에도 고위험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제대로 설명했는지가 관건이 될 것 같아요.
'정치・경제・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자민당 지소미아 파기, 한국과 국교단절을 포함한 대응 주장 (0) 2019.08.19 '반일 선동에 속지마라'던 DHC 판매자, 결국 사업 접는다 (0) 2019.08.18 고유정이 살인 방법을 참고 했으리라 추정되는 영국 드라마 (0) 2019.08.17 일본 수출규제로 한국 중소기업 타격이 크다며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그만 두라는 스포츠 서울! (0) 2019.08.17 일본 여행 불매운동으로 일본이 가장 곤란한 것은 지역 경제 타격이 아니다! (0) 2019.08.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