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모약 '프로페시아', 한국인 98%에서 탈모진행 억제잡학다식 2019. 7. 2. 21:42
MSD의 프로페시아(피나스테리드)가 한국 남성 탈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5년간의 유효성 평가에서 효과가 입증됐어요.
신정원 분당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BASP 분류법을 기준으로 한 한국인 남성형 탈모 환자 대상 피나스테리드의 5년간 장기 유효성 평가 연구 결과'를 간담회를 통해 공개했어요.
신정원 교수는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으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오랫동안 복용해야 한다. 한번 증상이 시작되면 계속 악화되기 때문"이라며 "치료도 장기적인 연구로 지속적인 치료효과와 안전성을 입증 받은 치료법인지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어요.
연구자들은 참여 환자들의 임상 사진과 진료기록을 치료시작점(baseline), 3개월, 6개월 1,2,3,5년을 기준으로 평가했어요.
BASP 분류는 앞머리 선의 모양을 기준으로 한 기본 유형(L형, M형, C형, U형)과 앞머리와 정수리 부위의 모발 밀도를 기준으로 한 특정 유형(V형, F형)으로 구분. BASP 분류에 따르면, 연구대상 환자의 84.9%는 기본 M유형에 해당됐고 특정유형의 환자 중 46%가 V형, 29.4%가 F형이었어요.
연구 결과, 5년간 피나스테리드 복용을 지속한 126명의 환자 중 85.7%(108명)가 탈모 증상의 개선을 보였으며, 98.4%(124명)는 탈모 증상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어요.5년의 연구기간 동안 전반적 평가 점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치료 이전 대비 치료 6개월~2년 시점까지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이 효과는 치료 5년 시점까지 유의한 변화 없이 유지됐어요.
BASP 분류를 기준으로 한 평가에서도 피나스테리드를 5년간 복용한 환자들은 남성형 탈모의 기본 유형과 특정 유형 모두에서 임상적 개선 효과를 보였어요. 이 중 V형(정수리 탈모)이 다른 유형에 비해 더 빠르고 꾸준한 개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현재 일본 및 유럽, 아시아 컨센서스 위원회 남성형 탈모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권장되는 A등급 치료제는 국소용 미녹시딜 제제와 MSD의 프로페시아 뿐이었어요.
한편, 의료진들은 탈모치료제로서 성기능이 감소한다는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켰어요. 장기간 추적 연구 결과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등 부작용을 호소한 경우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고, 이상반응이 생기더라도 약 복용을 멈추면 회복된다는 것.
허창훈 분당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탈모치료제를 복용 후 나타나는 성기능장애는 미미한 수준으로, 계속 약을 복용하면 초기 부작용도 사라지게 된다"고 설명했어요.
또한 허 교수는 "프로페시아는 출시된 지 오래돼, 타 약물과 상호작용에 별다른 이상반응 없이 안정성이 입증됐다"고 밝혔어요.탈모로 인해 고민이 많은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이네요. 단기간 복용하면 역효과가 있을 수 있으니 장기간 복용이 필요한 것 같아요. 프로페시아 외에도 TV에서 광고하는 판시딜 효과에 대해서도 연구 결과 발표가 있으면 더 좋겠어요.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마실 때 술 한잔을 '샷'이라고 부른 이유 (0) 2019.07.09 신용등급 높일 수 있는 5가지 방법 (0) 2019.07.08 2020년부터 바뀌는 한국 여권 (0) 2019.07.02 한국인들이 향신료인 고수를 잘 못 먹는 이유 (0) 2019.06.30 뭉친 어깨 푸는 방법 (0) 2019.06.06 댓글